본문 바로가기

12월 20일 찰스 : 서프라이즈 AMA

LyADA 발행일 : 2022-12-24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JmzDpKEB0NA 

 

웜 써니 콜로라도.

 

오늘은 12월 20일입니다. 크리스마스가 다가옵니다.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2021년부터 각광받았던 암호화 자산 업계는 큰 기대를 안은 채 2022년에 돌입했습니다. 하지만 올 한해 동안 이 업계는 여러 스캔들과 문제가 빗발치는 기대 밖의 장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카르다노는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제게 있어 가장 스트레스가 많았던 한 해였습니다. 카르다노에 관한 것들뿐만이 아니라 여러 일이 많이 있었서 머리가 펑크가 날 것 같았죠. 가끔은 장기 휴식을 취하거나 리트리트(명상)과 마음챙김으로 마음을 진정시키거나 단식을 하는 것으로 극복했습니다.

 

자... 이제 AMA 해봅시다.

 

Q. 올해 벌어진 크립토 일련의 사태에 관해서 코멘트해주세요.

A. 루나, 셀시어스, FTX군요. 2022년 초에 파티에서 이들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면 이것들은 미래의 희망이다, 범상치 않다, 혁신이다, 천재 그 자체다, 매우 안전하다고 했었습니다. 카르다노에 관한 이야기가 들려 오면 이것은 사기이고 접근하면 안 되고 고스트체인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암호화 자산이 지속해서 구가할 줄 알았던 사람들이 몰리게 되면서 현실은 정반대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Q. 올해는 벌인 일은 어떻습니까?

A. 수많은 논문이 나왔고, 바실 하드포크를 이뤄냈고, 스콧 패스트 등. 많은 일을 했습니다. 그 외에도 바이오나 농장, 부동산에서 많은 사업을 행하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건 올 한해 많은 블록체인 개발자가 감소한 것 같습니다.

 

Q. Orbis와 Ardana에 코멘트해주세요.

A. 카르다노 커뮤니티는 매우 훌륭하지만 아르다나나 오르비스같은 안타까운 일들이 있었습니다. 사업에 실패하거나 더이상 진행하지 못할 것 같으면 그것을 투자자에게 전달하고 해결 대책을 강구하는 게 우선입니다. 트위터에 모두에게 선언하는 것을 보면 사람들이 매우 미숙하다고 느껴집니다. 하지만 카르다노 커뮤니티는 크게 전진하고 있다는 사실에 만족합니다.

 

Q. 에이다 왜 떨어지는 거예요!

A. 에이다가 하락하고 있는 이유는 전체 시장이 하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봇인지 트롤인지 다른 프로젝트 멤버인지 모르겠으나 셋중 하나일 겁니다.

 

Q. 왜 질문자를 역으로 공격하는 겁니까?

A. 에이다 하락 이유를 굳이 AMA까지 들어와 물어보는 사람이 구글 검색도 하지 않아 시장 전체가 하락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를 리가 없습니다. 모르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시장 전체의 하락을 모른 척하고. 카르다노는 숱한 프로젝트중에서도 비교적 좋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무시합니다.

 

Q. 저는 장애인 자녀를 둔 아버지입니다. 암호화 자산은 장애인에게 어떠한 기회를 줄 수 있습니까?

A. 암호화 자산. 블록체인은 프로토콜입니다. 프로토콜은 누군가를 차별하지 않습니다. 모든 사람과 모든 사회에 평등한 접근을 제공합니다. 당신의 자녀가 장애인인지 아닌지는 상관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사회 구성원 A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습니다. A 때문에, B를 위해서... 이런 식으로 구축해 나가면 무한히 채워지지 않으며, 최종적으로 A마저 채워지지 않게 됩니다. 우리는 라벨(딱지)가 붙지 않는 유니버설 시스템입니다. 평등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차별은 없습니다. 장애인이기에 우대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평등한 접근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게 중요한 부분입니다.

 

Q. Lace 월렛 언제 나와요?

A. 2023년 1분기가 확실시됩니다. 레이스 지갑은 크로스체인입니다. 에이다뿐만이아니라 다양한 코인을 취급할 수 있는 편리한 지갑입니다.

 

Q. 슬슬 카르다노의 대장 자리에서 내려오는 게 어떻습니까?

A. 카르다노의 대장을 그만두라는 건가요? 그렇다면 당신은 오해하고 있습니다. 저는 아무것도 이끌고 있지 않아요. 카르다노는 여러분이 만드는 집합체이며 운영은 자연스레 커뮤니티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가 펼치는 AMA를 카르다노의 AMA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Q. Hydra! 하이드라! 대단한 건 알겠는데 잘 모르겠어요. 풀어써 주세요.

A. Hydra의 포인트는 보통 온체인에 있는 것을 오프체인으로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1000개의 대가리(Heads)가 되면 1000배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첫 번째 스텝이고. 다음으로는 그 헤드의 헤드끼리, 헤드 자체의 구조를 도입합니다. 매우 확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초고속 파이널리티(불변성)이나 저비용 운영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TPS에 매몰되지 마세요. 엔진에서는 확산 파이프라인, 인풋 엔도서에 의해 스토리지로 움직입니다. 이 정도로도 속도가 잘 받쳐주지만 Hydra는 오프체인과 온체인을 완전히 들어맞게 하는 것을 중시합니다.

 

Q. 뻘 질문이 너무 많아요.

A. 우리 IOG는 많은 일을 합니다. 카르다노뿐만이 아니라 미드나이트도 있고, 169개의 논문은 카르다노와 관계 없는 PoW에 관한 논문도 있습니다. 그리고 Lace는 카르다노만의 전용이 아닙니다. 카르다노만 이야기하는 AMA를 원한다면 카탈리스트에서 마케팅 담당자를 고용하십시오. 제 개인 AMA는 카르다노 의외의 것들도 질문할 수 있습니다.

 

Q. 당신은 프리메이슨 멤버입니까?

A. 아니오. 저는 어떠한 비밀 결사대와도 연관이 없습니다.

 

Q. 레전드 오브 밸러(Legends of Valor) IP 판권 사셨잖아요. 리메이크 언제 나옵니까?

A. 그 게임은 당시 획기적인 3D 월드 게임이었고, 어린아이였던 저는 세세하게 몰입하며 플레이했지만 자금 부족으로 엔딩을 못 봤습니다. 몇 년동안 해온 게임이어서 어린 나이에도 매우 실망했죠. 저는 이 게임을 끝내야겠다고 항상 마음속으로 생각했고, 결국 저는 권리를 샀습니다. 지적 재산권까지요. 아주 좋은 게임으로 완성하겠습니다.

 

Q. 영화 아바타: 물의 길 봤습니까?

A. 네. 봤습니다. 재밌었습니다. 영상미로는 제가 지금까지 본 영화중에 가장 예뻤습니다. 개인적으로 내용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만요. 예를 들어 군사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주인공은 패배하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요.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라면 악행도 문제삼지 않는다는 시나리오에 의문을 느꼈습니다.

 

Q. CIP1694란 무엇입니까?

A. CIP1694란 카르다노 거버넌스층을 말합니다. 제가 유일하게 공동 편집한 제안이기도 합니다. SPO, 의제, 헌법 등의 모델이며 이미 비디오로 리뷰하고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 꼭 여러분도 한번 읽어 주세요. 우리는 피드백을 수집하고 내년 3월 워크숍을 진행해 커뮤니티의 의견을 반영할 것입니다. 승인되면 카르다노에 MBO와 헌법을 더한 완전한 거버넌스를 구축해 카르다노를 장기적으로 성장시킬 것입니다.

 

Q. 싱귤러리티넷 근황 좀 알려주세요.

A. 매우 흥미롭지만 아직 CIP1694등 최우선 과제를 먼저 수행해야 합니다.

 

Q. 일론 머스크가 CEO 사임 투표 폴을 내세웠고. 사임해야 하는지의 대한 이야기가 화제입니다. 찰스 님의 생각을 알고 싶습니다.

A. 일론은 큰 돈을 들여 트위터를 인수해 염원하던 CEO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테슬라나 다른 사업을 하면서 트위터를 경영하는 데 여러 애로사항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해서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싶은 거로 봅니다. 그의 행동은 CEO로 취임한 이후부터 잘못되었습니다. 많은 직원을 해고했어요. 물론 해고해야할 직원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훌륭한 직원까지 포함되어 있어 초기 운영에 혼란과 손실을 주었습니다.

우리는 일론에 공식, 비공식적으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컨택하려 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소셜 미디어를 구축하자고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론은 완전한 무시로 일관하고 있긴 하지만요. 만약 제가 차세대 소셜 미디어를 만든다면 렉스 프리드먼같은 인재를 모은 팀을 구성해 아이덴티티와 정보 큐레이션을 축으로 전개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좋습니다. 오늘 AMA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오랜 시간 진행했음에도 함께해 주신 천 명 이상의 시청자 분들께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봅시다. 치얼스.

 

 

 

반응형

댓글